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남구 제5선거구(울산)

덤프버전 : (♥ 0)

||
파일:남구_제5선거구(울산)8.png
선거인 수37,864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울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남구 일부
달동, 수암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동칠 (초선)

1. 개요
2. 역대 선거 결과[1]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남구달동과 수암동을 관할한다. 지도에서도 보이다시피 두 동이 뚝 떨어져있는 월경지 선거구이다.

남구 을에서 가장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다. 옆 지역구들과 달리 크게 보수세가 약한 지역이 없기 때문이다. 달동은 거의 남구 평균을 살짝 상회하고, 수암동은 그보다 보수세가 2%가량 낮은 추세이지만, 인구 비율은 달동이 더 높으므로 거의 남구 평균에 가장 근접한다. 그렇기에 한나라당부울경에서 다소 주춤했던 5회 지선에서 접전을 펼친 것과 남구 전체에서 압승을 거둔 7회 지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한 것을 제외하면 모두 보수 성향 후보가 넉넉하게 승리했다.

2. 역대 선거 결과[2][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남구 제3선거구
제2대이종범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3]
제3대2002년 7월 1일 ~ 2004년 2월 14일[4]
서동욱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6월 6일 ~ 2006년 6월 30일
제4대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남구 제5선거구
제5대김정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5][6]
제6대
ta-hash-start=w-85ea6fd7a2ca3960d0cf5201933ac998[[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7대김선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8대김동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3선거구
달동, 삼산동, 야음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종범(李種汎)12,644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1.85%당선
2박철우(朴哲佑)3,0263위

ta-hash-start=w-6ee0b1c15b0c6533d73b00d403baa864[[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2.41%낙선
3이동해(李東海)2,3234위

ta-hash-start=w-3ba80c68455c34a4382a8eb03defd90a[[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9.52%낙선
4박동철(朴東哲)6,3892위

무소속

26.20%낙선
선거인 수47,025투표율
53.20%
투표 수25,022
무효표 수640

2.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3선거구
달동, 삼산동, 야음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종범(李鍾汎)17,839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73.42%당선
2이동해(李東海)6,4562위

ta-hash-start=w-dc513ea4fbdaa7a14786ffdebc4ef64e[[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6.27%낙선
선거인 수56,935투표율
44.16%
투표 수25,148
무효표 수853

2.3.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3선거구
달동, 삼산동, 야음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여창구(呂昌九)8,2952위

ta-hash-start=w-2f0928c25ff3f884e8d2fa38835bd328[[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8.20%낙선
2서동욱(徐東旭)21,113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1.79%당선
선거인 수63,641투표율
47.46%
투표 수30,209
무효표 수801

2.4.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5선거구
달동, 수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정태(金正泰)9,980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1.54%당선
2임동욱(林東郁)9,3822위

ta-hash-start=w-0628578027f2f3e17abf142c0faec461[[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48.45%낙선
선거인 수37,378투표율
53.21%
투표 수19,892
무효표 수530

2.5.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5선거구
달동, 수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정태(金正泰)12,1721위

ta-hash-start=w-f3d3c175f72beb0ed44ffec4f38cd47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60.41%당선
2류왕도(柳王道)5,4032위

ta-hash-start=w-6e53bd824399513c956d152f8684d489[[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6.81%낙선
4신우섭(申扜葉)2,5713위
12.76%낙선
선거인 수38,783투표율
54.41%
투표 수21,104
무효표 수958

2.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5선거구
달동, 수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선미(金善美)11,1351위
47.77%당선
2김동칠(金東七)9,5982위
41.18%낙선
6박해욱(朴海郁)2,5743위
11.04%낙선
선거인 수37,420투표율
63.98%
투표 수23,944
무효표 수637

2.7.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5선거구
달동, 수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선미(金善美)6,9332위
37.01%낙선
2김동칠(金東七)11,7951위
62.98%당선
선거인 수37,864투표율
50.38%
투표 수19,075
무효표 수347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선미 시의원이 그대로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지난 선거에 출마했던 김동칠 전 구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으며 설욕에 나선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김선미 후보와 김동칠 후보 간의 리턴매치가 펼쳐진다.

개표 결과 김동칠 후보가 25%p 이상의 격차로 4년 만에 복수에 성공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수암동에서 60.6% : 39.4%로 김선미 후보도 40% 가까운 득표율을 올리긴 했으나, 김동칠 후보의 메인 지역 기반이기도 한 달동에서 65.9% : 34.1%로 30%p차 이상으로 김동칠 후보가 압승하면서 표차가 더 커졌다.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7.8% : 42.2%로 관내투표에 비해 현저히 격차가 적은 편이긴 하나, 15%p 가량의 차이로 이미 격차가 많이 벌어진만큼 김선미 후보에게 크게 도움이 되지는 못했다.


[1]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2]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3] 달동, 삼산동, 야음3동[4] 17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5] 달동, 수암동[6] 2007년 2월 26일에 야음3동이 수암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